Q. 구스픽스는 왜 반영구적인가요?

1. 전세계적으로 공용성이 입증된 구스아스팔트를 고체 알갱이로 성형한 제품입니다.
  • 구스아스팔트는 교량 및 고속도로에 사용되어지는 고품질 특수 아스팔트입니다.
  • 구스픽스는 그 중 최고급 품질의 구스아스팔트 바인더를 골재와 결합시켜 고체알갱이로 성형하였습니다.
2. 구스픽스는 기존 아스팔트와 비교하여 하자 발생률이 거의 없습니다.
  • 공극률 제로에 달하는 완벽한 방수성을 자랑하여 여름철의 집중호우, 장마, 겨울철 동결방지용 염화칼슘에도 소성변형 및 포트홀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 별도의 다짐 공정이 필요없는 튼튼한 내구성을 자랑합니다. 기존 아스팔트들은 다짐 공정을 제대로 하지 않을 경우 하자발생률이 현격하게 높아집니다.
  • 강력한 접착성을 지녀 어떤 종류의 아스팔트와도 접착하여 완벽한 접착률을 자랑합니다.
  • 국내 시공 20년 이상의 탁월한 공융성을 자랑하여 하자 발생이 거의 없는 반영구적 도로포장재입니다.
  • 기존 아스팔트는 수명이 짧아 하자발생률이 높고 잦은 재포장을 해야 하기에 장기적 경제성(LCC)을 고려할 경우, 구스픽스가 기존 아스팔트보다 큰 비용 절감을 할 수 있습니다.

Q. 구스아스팔트와 구스픽스는 무엇이 다른가요?

1. 구스아스팔트와 구스픽스는 동일한 고품질 특수아스팔트입니다.
  • 단, 구스픽스는 구스아스팔트 가운데 최고급 품질의 구스아스팔트 바인더를 골재와 결합시켜 고체알갱이로 성형한 과립형 구스아스팔트입니다.

2. 구스픽스는 고체 알갱이형으로 성형되어 기존 구스아스팔트의 한계를 극복하였습니다.
  • 구스아스팔트를 가열하여 생산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특수 장비인 대형 쿠커가 필요했습니다. 이 쿠커를 통해 오직 대량의 구스아스팔트만 생산하였고, 소량의 구스아스팔트가 필요한 곳(맨홀, 측구 및 중분대, 신축이음부, 포트홀, 지하관로 등)에서는 사용할 수가 없었습니다.
  • 구스픽스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소량 취급이 가능하도록 고체 알갱이형으로 성형되었습니다.
  • 또한 대형 쿠커 없이, 소형 쿠커, 가열 가능 용기, 버너나 토치 또는 전자레인지로도 가열하여 생산하기 쉽도록 고체 알갱이형으로 성형되었습니다. 구스픽스는 독일 특허 기술로 최고 품질의 반영구적, 전천후 도로포장재입니다.

Q. 구스픽스를 가열·생산하기 위한 손쉬운 방법은 무엇인가요?

1. 버너와 토치를 이용하여 구스픽스를 가열·생산할 수 있습니다.
  • 포트 홀 또는 작은 영역을 보수할 때에 사용 가능한 방법입니다.
  • 버너와 토치 가열의 소요 시간은 최소 5분에서 최대 10분입니다.
  • 깊은 구간일 경우에는 2-3cm 두께로 나눠서 가열 및 포설한 후 그 위로 덧씌워 가열 및 포설할 수 있습니다.
2. 소형 쿠커를 이용하거나 가열 가능 용기에 넣어 구스픽스를 가열·생산할 수 있습니다.
  • 맨홀 또는 넓은 구간일 경우에는 좀 더 많은 양의 구스아스팔트가 필요하기에 소형 쿠커를 사용하거나 가열 가능 용기에 넣어 가열 및 포설할 수 있습니다.
  • 또 포트 홀이 여러 곳에 각각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소형 쿠커를 사용하거나 가열 가능 용기에 넣고, 많은 양의 구스픽스를 미리 가열한 후 현장에 도착하여 재가열 및 포설할 수 있습니다.
  • 구스픽스는 여러 번 재가열하여도 그 특성이 달라지거나 변형되지 않습니다.

Q. 구스픽스는 왜 전천후 도로포장재인가요?

1. 구스픽스는 도로의 어떤 곳에서도 보수 또는 포장재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 구스픽스는 180℃ 이상 가열되면 죽처럼 흘러내려 도로의 어떤 곳(맨홀, 측구 및 중분대, 신축이음부, 포트홀, 지하관로 등의 다양한 지역)에서도 보수 또는 포장재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2. 구스픽스는 어떤 구조물과도 결합하여 강력한 접착력과 방수성을 자랑합니다.
  • 구스픽스는 180℃ 이상 가열되면 죽처럼 흘러내려 어떤 구조물(시멘트, 강상판, 아스팔트 등의 다양한 구조물)과도 결합하여 강력한 접착력과 방수성, 내구성을 자랑합니다. 


㈜크레넷은 토목 건설 분야 선진재료와 기술을 선도합니다.

KRENET Inc. leads the advanced materials and technology in civil engineering & construction.